태양광 관련 정보
HYOSUNG
태양광 관련 정보

2024년 태양광사업 전망과 분석

페이지 정보

작성자 효성에너지팜1
작성일24-04-18 19:58 조회372회 댓글0건

본문

안녕하세요? 태양광 전문기업 (주)효성에너지팜 입니다.

2024년 태양광 사업에 대한 전망과 분석입니다. 


5a19697fbf168246d054df21ebda87f7_1713437895_6345.jpg
 

현재 태양광 산업이 축소가 되고 있는데요. 


세계적으로는 신재생 에너지 사업이 육성되고 있는 현상이지만

우리나라는 그 반대로 향하고 있습니다.


그 원인을 살펴보면

SMP상한제,  REC 상한제,  한국형 FIT 종료, 태양광 연계 한전 계통 선로 용량부족, 

개발행위 허가 규제 기준 강화, 주민 민원, 태양광 비리 수사, 출력 제한 등으로 

큰 타격을 입고 있습니다.


한국은 유독 세계적인 추세와 반대로 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래서 가장 최근에 실시한 2023년도 하반기 태양과 설비 입찰이 미달되는 상황도 벌어지고 있습니다.


공고한 물량은 100만 KW인데 그중 6.6%만 참여했고,

총 175개이 태양광 발전소만 낙찰되었다고 합니다.


태양광 업계는 정권에 여향을 많이 받는 산업이기 때문에

정부에서 많은 관심과 정책을 만들어 주어야 발전할수 있는 산업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정부에서는 신재생 에너지 산업의 예산을 삭감하는 기조로 가고있어

태양과 산업이 어려워지고 있는 현실입니다.



5a19697fbf168246d054df21ebda87f7_1713437904_6419.jpg





태양광 예산 삭감 분야를 보겠습니다.

보급을 지원해주는 사업 예산과

금융 지원을 해주는 금융 지원 사업이 있는데


태양광 보급을 위한 사업의 예산은 32.2%가 삭감되었고

금융을 위한 예산은 21% 삭감되었습니다.


태양광 융복한 산업 공정열 이용기술개발 예산도 79.7% 삭감되었고

8억이 편성 되었습니다.


심지어 녹색혁신 금융지원 사업은 올해부터 폐지되어 실행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지금 태양광 사업의 위기라고 모고 있는데요.


재생에너지 지원 산업의 금융지원이 많이 줄어들고

SMP와 REC 상한제로 태양광 사업자들의 수익도 하락했습니다.


탄조 중립을 실현하기 위해 많은 나라가 노력하고 있고

해외 기업들 역시 RE100을 충족하기 위해 신재생 에너지 

사용을 조건에 추가하고 권장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한국의 신재생 에너지 산업은 발전을 시키기 보다는

지원과 확산을 막고 있는 모습입니다.


태양광 산업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좀더 국민들에게 필요한 에너지 발전 사업으로의 '방향을 

정부에서 고민해주고

성실하게 일하는 태양과 에너지 사업자와 국민들 모두에게 

긍정적인 방향으로 사업의 다각화를 고민해주고

함께 살아가고 공존해 갈수 있는 방법을 

찾아주시길 바랍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약관보기]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